본문 바로가기

내가 알고 있는 지식

전 세계 은행 자산 순위

반응형

저축은 필수?

나는 은행에 저축을 거의 하지 않는다. 대부분 미국주식이나 비트코인에 투자한다. 은행에 저축하면 이율이 너무 낮다. 손해를 보는 것이다. 그나마 가지고 있는 통장도 케이 뱅크 정도이다. 케이 뱅크에서 가상화폐 거래소로 연동되어서 비트코인 투자가 가능하다. 전 세계은행 시총을 알아보자

 

 

전 세계 은행 시총 순위

순위 은행명 국가 총자산 (T = 조 달러)
1 ICBC 중국 $6.898 T
2 AgBank (농업은행) 중국 $6.212 T
3 CCB (건설은행) 중국 $5.837 T
4 Bank of China 중국 $4.859 T
5 JPMorgan Chase 미국 $4.002 T
6 Bank of America 미국 $3.261 T
7 HSBC 영국 $3.017 T
8 BNP Paribas 프랑스 $2.814 T
9 Mitsubishi UFG 일본 $2.631 T
10 Crédit Agricole 프랑스 $2.403 T
11 Citigroup 미국 $2.352 T
12 PSBC 중국 $2.259 T

 

출처: Civixplorer

 

 

왜 중국은행이 1등일까?

국가 주도의 경제 성장
중국 정부는 은행 시스템을 통해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예: 일대일로)와 국영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며 경제 성장을 주도했습니다. 은행들은 정책적 지원을 받아 안정적으로 자산을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거대한 국내 시장
중국의 인구(14억 명)와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예금 및 대출 규모가 자연스럽게 증가했습니다.
중산층 확대로 소비자 금융 수요도 급증했습니다.

정부의 강력한 규제와 통제
중국 은행들은 국영 또는 정부의 강력한 영향을 받아, 시장 변동성에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외국 은행의 중국 시장 진입 장벽이 높아 경쟁이 제한적이었습니다.

글로벌 확장 전략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에 따라 아시아, 아프리카 등에서 대규모 프로젝트를 финан싱하며 해외 자산도 증가했습니다.

국가 소유 은행
상위 4개 은행(ICBC, AgBank, CCB, Bank of China)은 중국 정부가 지배적 지분을 가지고 있어 정책적으로 성장 지원을 받습니다.

대규모 대출 및 인프라 투자
중국 정부의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일대일로, 부동산 개발 등) 지원을 위한 대출 확대로 자산 증가 되었습니다 다.

해외 확장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등으로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며 영향력 증가입니다.

 

 

 

중국은 역시 인구도 많고, 땅도 넓어서 은행도 크구나.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는 미국, 일본, 유럽이구나

한국에서 가장 큰 은행은 국민은행으로 3838억 달러이구나. 한국은 어떻게 해야 금융 강국이 될 수 있을까?

반응형

'내가 알고 있는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수입 관세율  (4) 2025.04.08
역대 대통령 및 재임 기간  (0) 2025.04.04
각 나라 별 콜라 가격  (7) 2025.03.26
전 세계 핵무기 순위  (0) 2025.03.26
전 세계에서 오래 된 대학 순위  (3)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