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알고 있는 지식

전 세계에서 한 시간에 출산 순위

728x90
반응형
SMALL

출산율 최저 한국

한국이 초저 출산 국가인 것은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이다. 나라도 집값, 취업, 교육등으로 자식을 낳기가 꺼려진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인도와 중국의 출산율은 어느 정도 일까? 당연히 한국보다는 높을 것이고, 아마도 아프리카 나라들도 출산율은 상위권을 차지할 것이다.

 

 

전 세계 출산율 순위

순위 국가 한 시간당 출생아 수
1 IN 인도 2651
2 CN 중국 1016
3 NG 나이지리아 857
4 PK 파키스탄 786
5 ID 인도네시아 512
6 CD DR콩고 499
7 ET 에티오피아 469
8 US  미국 418
9 BD  방글라데시 398
10 BR 브라질 297

 

왜 인도가 가장 많을까?

1. 세계 최대 인구 (14억 명 이상)
인도는 2023년 기준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로, 중국을 제치고 1위가 되었습니다.
인구 기반 자체가 크기 때문에 출생아 수도 자연스럽게 많습니다.


2. 젊은 인구 비율이 높음
인도의 **중위연령(Median Age)**은 약 28세로, 세계 평균(약 30세) 보다 낮습니다.
전체 인구 중 청년층(15~30세) 비율이 높아 가임기 여성도 많아 출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3. 농촌 중심의 인구 구조
인도의 많은 지역은 여전히 농경사회로, 노동력을 위해 다자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도시에 비해 농촌 지역에서는 가족계획(피임, 출산 조절) 교육이 부족해 출산율이 높게 유지됩니다.

 

4. 전통적인 가족 가치관
인도는 가족 중심의 문화가 강하며, 결혼 후 자녀를 많이 낳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조부모 세대가 자녀에게 출산을 장려하는 문화도 남아 있습니다.
특히 조혼 문화(법적 연령은 18세 이상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조혼 관습이 남아 있음)도 출산율에 영향을 미칩니다.

 

5. 의료 발전과 유아 생존율 증가
과거에는 유아 사망률이 높아 다자녀를 낳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의료 기술이 발달하면서 신생아 생존율이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출산율은 빠르게 감소하지 않고 유지되고 있습니다.

 

6. 정부의 가족계획 정책이 느리게 적용됨
중국은 ‘한 자녀 정책’을 시행하여 출산율을 낮춘 반면, 인도는 강력한 출산 제한 정책을 시행하지 않았습니다.
정부 차원에서 가족계획(피임 보급, 출산율 조절 등) 정책을 홍보하고 있지만, 모든 지역에 빠르게 정착되지 않아 출산율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역시 인구대국인 인도! 인도가 가장 출산을 많이 하는구나! 인도는 하루에 6만명이 태어나는 거네... 대부분 아프리카 국가들이 상위권이구나
한 시간당 출생아 수는 약 26명이구나...이렇게 한국은 망해가는가... 한국의 출산율이 늘어날 수 있는 방향은 무엇이 있을까 생각해 보지만 답이 생각나지 않는다.

728x90
반응형
LIST